Complex recursion
단순한 배열을 루프인 경우는 간단히 이터레이션을 작성할 수 있음.
{
[Symbol.iterator]() { return this; },
data: [1,2,3,4],
next() {
return {
done: this.data.length == 0,
value: this.data.shift()
}
}
}
문제는 다층형 그래프는 어떻게 이터레이션을 할 것인가?
{
[Symbol.iterator]() { return this; },
data: [{ a: [1,2,3,4], b: '-'}, [5,6,7], 8, 9],
next() {
return /// 어떻게 작성 해야 할까?????
}
}
{
[Symbol.iterator]() { return this; },
data: [{ a: [1,2,3,4], b: '-'}, [5,6,7], 8, 9],
next() {
let v;
while (v = this.data.shift()) {
switch (true) {
case Array.isArray(v):
this.data.unshift(...v);
break;
case v && typeof v == 'object':
for(var k in v) this.data.unshift(v[k]); // hasOwnProperty 써줘야 함.
break;
default:
return { value: v, done: false };
}
}
return { done: true };
}
}
컨테이너가 아니면 잘라서 계속 넣는 방법을 이용하면 쉽게 해결, 실제 위 코드에서는 런타임 평가이기 때문에 카운트 변수로 100번이나 만번으로 최대 동작 회수를 넣어주는게 좋다.
위 코드는 오류가 있다. data쪽에 a에 값 아무걸로 바꾸면 문제가 생긴다.
아래 코드로 바꿀 수 있다.
{
[Symbol.iterator]() { return this; },
data: [{ a: [1,2,3,4], b: '-'}, [5,6,7], 8, 9],
next() {
let v;
while (v = this.data.shift()) {
if (!(v instanceof Object)) return { value: v}; // null인 경우 조건을 넣어줘야 함.
if (!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this.data.unshift(...v);
}
return { done: true };
}
}
const Compx = class {
constructor(data) { this.data = data; }
[Symbol.iterator]() {
const data = JSON.parse(JSON.stringify(this.data)); // 여기에 대괄호를 붙이면 더 안전하다. 데이터가 무엇이 오든 배열 형태로 받게 됨.
return {
next() { // es6 문법임 (function 작성)
let v;
while (v = data.shift()) {
if (!(v instanceof Object)) return { value: v}; // null인 경우 조건을 넣어줘야 함.
if (!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data.unshift(...v);
}
return { done: true };
}
};
}
};
const a = new Compx([{a: [1,2,3,4], b: '-'}, [5,6,7], 8, 9])
console.log([...a])
이런 코드의 문제를 발견하려면,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는게 중요하고 단위 테스트는 커버리지가 중요하다.
const Compx = class {
constructor(data) { this.data = data; }
*gene() {
const data = JSON.parse(JSON.stringify(this.data)); // 여기에 대괄호를 붙이면 더 안전하다. 데이터가 무엇이 오든 배열 형태로 받게 됨.
let v;
while(v = data.shift()) {
if(!(v instanceof Object)) yield v;
else {
if(!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data.unshift(...v);
}
}
}
};
const a = new Compx([{a: [1,2,3,4], b: '-'}, [5,6,7], 8, 9])
console.log([...a.gene()])
아까 보다 직관적으로 코드를 작성 했다. if - else로 확실하게 명확하게 케이스를 분리 해준다. 주석에 의존하지 말고 코드를 먼저 명확하게 작성 하면 코드에 주석을 넣을 이유가 없다.
Abstract Loop
다양한 구조의 루프와 무관하게 해당 값이나 상황의 개입만 하고 싶은 경우
(data, f) => {
let v;
while(v = data.shift()) {
if(!(v instanceof Object)) f(v);
else {
if(!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data.unshift(...v);
}
}
}
}
statement로 확정 되어 있어서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결국 제어문을 직접 사용할 수는 없고 구조 객체를 이용해 루프실행기를 별도로 구현
if(!(v instanceof Object)) {}
else {
if(!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data.unshift(...v);
}
위 코드에서 if - else 부분이 개별구조 객체 부분이므로 뺄 수 있음. 대신 외부에서 if를 제거 하려면, 외부에서 객체 하나씩 분리해내면 된다.
팩토리 패턴과 컴포지트 패턴으로 이용한다.
const Operator = class {
static factory(v) {
if (v instanceof Object) {
if(!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return new ArrayOp(v.map(v => Operator.factory(v)));
} else return new PrimaOp(v);
}
constructor(v) { this.v = v;}
operation(f) { throw 'override'; }
}
const PrimaOp = class extends Operator {
constructor(v) { super(v); }
operation(f) { f(this.v); }
}
const ArrayOp = class extends Operator {
constructor(v) { super(v); }
operation(f) { for(const v of this.v) v.operation(f); }
}
Operator.factory([1,2,3, {a: 4, b:5}, 6,7]).operation(console.log)
객체의 분기를 통해서 루프 실행기의 분기를 제거 함.
const Operator = class {
static factory(v) {
if (v instanceof Object) {
if(!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return new ArrayOp(v.map(v => Operator.factory(v)));
} else return typeof v == 'string' ? new StringOp(v) : new PrimaOp(v);
}
constructor(v) { this.v = v;}
operation(f) { throw 'override'; }
}
const StringOp = class extends Operator {
constructor(v) { super(v); }
operation(f) { for(const ch of this.v) f(ch); }
}
const PrimaOp = class extends Operator {
constructor(v) { super(v); }
operation(f) { f(this.v); }
}
const ArrayOp = class extends Operator {
constructor(v) { super(v); }
operation(f) { for(const v of this.v) v.operation(f); }
}
Operator.factory([1,2,3, {a: 'abc', b:5}, 6,7]).operation(console.log)
구글 크롬에서 스크립트 창에서 실행할 때, const는 재할당이 안되니까 불편한데, 모든 코드를 if(1)
로 감싸면 계속 재실행이 된다. 이것 팁이다.
ES6 Iterable
const Operator = class {
static factory(v) {
if (v instanceof Object) {
if(!Array.isArray(v)) v = Object.values(v);
return new ArrayOp(v.map(v => Operator.factory(v)));
} else return new PrimaOp(v);
}
constructor(v) { this.v = v;}
*gene(f) { throw 'override'; }
}
const PrimaOp = class extends Operator {
constructor(v) { super(v); }
*gene(f) { yield this.v; }
}
const ArrayOp = class extends Operator {
constructor(v) { super(v); }
*gene(f) { for(const v of this.v) yield * v.gene(); }
}
for (const v of Operator.factory([1,2,3, {a: 4, b:5}, 6,7]).gene()) operation(console.log(v))
Lazy Execution
최적화 영역은 사실 3%정도에 속한다. 결국에 내가 최적화 하는 것보다는 엔진이 최적화하는게 훨씬 이득. 표준 함수가 있으면 표준 함수가 유리하다. 내가 최적화 하는게 별 의미가 읍..슴
사실 최대의 최적화는 렌더링이 97%이다. DOM 얼마나 적게 건드리는건지가 중요하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복잡성을 줄이는게 제일 좋다. 알고리즘 관점으로는 표준함수를 쓰는게 제일 좋다.
const odd = function*(data) {
for (const v of data) {
console.log("odd", odd.cnt++)
if (v % 2) yield v;
}
}
odd.cnt = 0;
for(const v of odd([1,2,3,4])) console.log(v);
나머지 연산자의 경우 양의 정수에만 동작 한다. (예외처리 해주려면, 음수인걸 반전 시켜주도록 처리 하는게 좋음.)
const take = function*(data, n) {
for (const v of data) {
console.log("take", take.cnt++)
if (n--) yield v; else break;
}
};
take.cnt = 0;
for(const v of take([1,2,3,4], 2)) console.log(v);
for(const v of take(odd([1,2,3,4]), 2)) console.log(v);
coroutine의 suspension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제어문이 실행 되다가 멈출 수 있는 걸 이용할 수 있다. 반복이 굉장히 효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const Stream = class {
static get(v) { return new Stream(v); }
constructor(v) {
this.v = v;
this.filters = [];
}
add(gene, ...arg) {
this.filters.push(v => gene(v, ...arg))
return this;
}
*gene() {
let v = this.v;
for(const f of this.filters) v = f(v);
yield* v;
}
}
위의 개념이 Java 8의 Stream 개념과 같고, 일반적인 함수형 언어 Stream이라고 하는 개념이다.
const odd = function*(data) {
for (const v of data) if(v % 2) yield v;
}
const take = function*(data, n) {
for (const v of data) if (n--) yield v; else break;
}
for(const v of Stream.get([1,2,3,4]).add(odd).add(take, 2).gene())
console.log(v)
지연 실행을 이용해서 중복을 제거하고 추상 루프를 만들 수 있다. 정확하게 필요한 반복 횟수만 실행하는 함수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dd(take, 2)
위 코드에서 커링으로 보면 된다. Stream 클래스의 add 함수에서 ...arg
로 풀어서 인자로 넣어준다. v => gene(v, ...arg)
이 부분이 커링 함수이다. (...나만 커링을 또 까먹은 것인가...)
지금 까지는 동기적인 루프에 대해서 말 했는데, 비동기는 더 어렵다. 이정도까지는 괜찮다. 그리고 함수형으로 배우면 더 어렵고, JavaScript의 Generator 문법으로 배우는게 훨씬 이해가 쉽다. 그리고 코드가 간략해진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스펙이 2015년도 스펙이므로 구닥다리의 개념이다. (심지어 나는 이걸 2021년에 보고 있다..)
해마다 ECMA 스펙에 각 언어들의 최종 스펙들을 다 넣고 있음.. 그래서 배우기가 쉽지 않다. (이 말은 결국 깊하게 배워서 잘 쓰기가 어렵다.)
그러면, 결론적으로 JavaScript를 내가 쉽다고 생각하면 내가 그 언어를 잘 못쓰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프로그래밍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피츠 77 - ES6+ 기초편 6회차 (Generator, Promise, Async/Await) (0) | 2022.04.27 |
---|---|
코드스피츠 77 - ES6+ 5회차 (Block, Non-Block & Sync, Async) (0) | 2021.03.26 |
코드스피츠 77 ES6+ 3회차 노트 (0) | 2021.02.14 |
코드스피츠 77 ES6+ 2회차 노트 (0) | 2021.02.14 |
코드스피츠 77 ES6+ 1회차 노트 (0) | 202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