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자 (35)
Seungdols Company
원래는 회고를 잘 하지 않았는데, 2019년 상반기 회고가 마지막이었다. 사람들은 회고를 많이 잘 하는 것 같아서 내심 부럽기도 하고, 개발자들은 자기 자신을 잘 되돌아보고 연마 하기 위해 노력 많이 하는구나 생각 했다. 내가 2020년도 한 해 동안 무엇을 했을까 기록 했던 것들을 적어보자. 계획 했던 것들 중에서 이룬 것들은 무엇일까? 👍목표 개인적인 목표 영어 공부 하루에 10분씩이라도 꾸준하기 이건 실패 블로그 꾸준히 포스팅 하기 나름 선방 한 것만 같다. 여행가기 사람들 없는 곳 찾아다니기 등산 최소 5개의 산을 오르기 지리산 일출 청계산 광교산 관악산 마니산 일빵빵 스토리가 있는 영어회화 1권 완독 저금 습관화 하기 개발 목표 TDD 나에게는 너무나 어려운 쥐약인 부분이다. Rust 뭘 바꾸기..
🖥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그것이 알고 싶다 - 왜 개발자는 글을 못 쓸까? - LINE ENGINEERING 이 글은 개발자가 글을 왜 안 쓰게 되는 가에 설명을 하고 있는데, 제목이 틀렸다. 못 쓰는가? 라고 해야 할 게 아니라 왜 안 쓰게 되는가? 라고 했어야 맞다. 모든 개발자가 블로그, 잡지, 책 집필을 꼭 해야만 하는 건 아니다. 애초에 관점을 테크니컬 라이팅에 맞출 거라면, 기술 스펙 문서 작성에 초점을 맞춰야 하지 않을까? DEVIEW 2020 발표자료와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Deview 라이브 몇개의 영상을 봤었는데, 일 하는 중에 보느라 못본 것도 있는데, 다시보기로 올라와 다행이다. 2020년 회고 1년간 스터디, 번역등 다양한 참여를 하셨는데, 읽다보니 나로써는 내년 목표를 생각하..
🛠팀에 도구를 도입하고 싶은 경우 도구를 도입한다는 건, 일단 팀의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4명인 팀과 8명인 팀, 16명인 팀인 경우 모두가 다르다. 내가 현재 속한 4명, 5명 시절부터 8명, 현재의 16명이 된 팀이 된 경우인데, 도구를 도입하고 싶은 경우 도입 했던 경험을 쓰려고 한다. 사실, 현재 속해 있는 팀원들이 모두 도구나 프로세스 도입에 대해서 보수적인 팀이 아니다 보니, 도구를 도입하는 것은 어렵진 않았다. 책임만 지면 된다. 😂 도구를 도입 하는 것에 대해 내가 느낀 세 가지가 있었다. 👉🏻첫째로는 내가 그 도구를 잘 아는가? 일단, 내가 도입하고 싶은 도구가 뭔지? 그리고 그 도구가 왜 필요한지를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서 내가 했던 일이 입사 이후 ..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팀에 새로운 도구를 도입하고 싶다. so-so님이 팀에 도구를 도입 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남겨 주셨다. 이것과는 별개로 나도 한 번 써 봐야겠다. 팀에 도구를 도입 하거나, 어떤 일련의 프로세스를 도입 하는 것에 대한 글을 나도 한 번 써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었다. 코드숨(codesoom)을 끝내며 12주간 진행하는 코드숨 교육을 끝낸 회고에 대한 내용이며, 코드 숨 교육에 대한 커리 큘럼이 나와 있고, 어떻게 진행 하고, 프로젝트는 무엇을 했는지? 잘 남겨져 있다. (어떤 부분이 어려웠는지...새로웠던 부분들도 잘 나와 있다.) 전국에 맥도날드 주소가 어떻게 될까? | Daily Log 전국 맥도날드, 스타벅스 매장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시작 헀으나, API가 도와주지 않고,..
👍🏻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온라인 코드 리뷰에 대해서 온라인 코드 리뷰와 더불어서 같이 하면 좋은 것이 오프라인 코드 리뷰인데, 이는 굉장히 리뷰 하기 까다롭고, 양이 많은 경우 퀵하게 오프라인으로 하는 방법이 좋다. 그런데, 대다수 바쁜 시간을 할애 해야 하므로, 온라인 코드 리뷰가 제일 좋다고 생각하고, PR에 올라온 코드를 온라인으로 설명하고, 허점은 없는지 다 같이 찾는 것도 팀내에서 가끔 있는 일이다. (데일리 스크럼 끝나고 잠시 온라인 코드 리뷰 하는 것도 좋겠다.) 서버에 걸리는 부하, 추측하지 말고 계측하자 서버 부하에 대해 자세하고, 깊게 알아볼 수 있는 글이다. 더불어서 top/sar 명령어를 통해 나타나는 지표들을 통해 서버 커널에서의 프로세스 부하를 설명 하고 있다. 데이터 분석가..
🙌🏻개발자가 읽으면 그 때 성장이라고 생각했던 것들 이 글을 읽는 나 조차도 뼈를 퍽퍽 맞았으니, 다들 읽고 뼈 맞고, 제대로 공부 하는 방법으로 나아가면 좋겠다. (물론, 나의 블로그에 접속 하여 이 글을 보는 독자 또한 나랑 같이 뼈 맞는다에 나의 왼손 터널 증후군을 걸겠다.) 근데, 너무 뼈 맞지 않아도 된다. 일일 커밋 하는 게 어디인가? 나처럼 귀찮아 하는 사람은 다음 다음생정도에나 가능한 행위이다. 알고리즘 푸는게 어디인가? 풀다 보면 이직이 쉬워진다. 지식쇼핑 하는게 어디인가? 나는 퇴근 후 넷플릭스만 본다. 모두 정답은 없다. 다만, 중요한 건 내가 했던 행위들은 나만의 언어로 이해하고, 체화 하여, 그 정보가 지식이 되어 남에게 다시 전달 가능한 순간이 언젠간 온다. 애플의 아버지가 말 ..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신규입사자가 바로보는 마켓컬리 마켓컬리의 신규 개발자가 본 마켓컬리의 문화를 체험하고 쓴 후기이다. 선한 영향력이란게 이런 문화를 두고 하는 말 같다. 나도 이제 감정적인 부분은 내려두고, 하루에 하나씩 복리 구조의 팀을 만들어가는데 일조 해야겠다. ziishaned/learn-regex 정규식 잘 모르던 분들이 참고 하기 좋은 정규식 배우기 페이지입니다. xguru/awesome-awesome-awesome Awesome list를 모아둔 Awesome Meta list 저장소이다. Greg Hausheer 비개발자가 개발자를 인터뷰 하는 방법에 관한 글이다. PostgreSQL is the worlds' best database PostgreSQL이 좋은 이유에 대해서..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번역) 세상은 왜 CSS개발자를 필요로 하는가? CSS 개발자가 필요한 이유, 솔직히 내가 항상 생각하는 유능한 마크업 개발자가 절실하게 필요한 이유가 이 이유이다. 물론, 프론트 개발자가 다 해도 되는 분야이기도 하지만, 나는 전문적인 마크업 개발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그래야 프론트 개발자가 더 집중도 있게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 한다. 물론, 이 글에 반대 하는 이들도 있으리라 생각 한다. 쿠폰 재고의 설계 및 개발 쿠폰 재고에 대한 설계와 개발을 스펙과 전체적인 디자인에 대해 잘 소개 하고 있으며, 특정한 문제와 어느 정도의 논이슈 처리등에 대한 근거와 감안 할 수 있는 이유, Redis를 사용한 명확한 이유를 잘 제시하고 있어서 정독 하면 좋겠다. git 교육..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 뉴스 #145 : 20-03-02 :: Outsider's Dev Story 라인 메신저에서 트래픽을 대응 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내용, Armeria 관련 글들이 인상적이었다. 그 외에도 재밌는 내용들이 많아 읽어 보길 추천한다. 연봉 2억 5천도 살기힘든 미친동네. 실리콘밸리 실리콘 밸리를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면, 봐야 할 영상.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에 다니더라도 문제는 샌프란시스코의 집값이 어마어마하게 높다는 문제가 있다. 대략, 10억-20억 연봉을 받으면 편할 순 있을 듯 하다. 근데 그럴 일이 없다. (시니어 엔지니어의 연봉도 3-5억 사이) ROKROKSS 도커와 가상 머신에 대한 비교 그리고 컨테이너가 어떻게 발전 되어 왔는지?를 정말 자세하게 소..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3 DevOps Trends to Watch in 2020 2020년의 DevOps의 3가지 트렌드인데, 프로젝트 관리 / 알림 (경고) / SaC(Security as Code)로 3가지를 압축했다. 사실, 트렌드라고 하지만, 예전부터 어느 순간 드러나던 주제이기도 했다. How 1500 bytes became the MTU of the internet ethernet이 1500MTU를 쓰게 된 계기인데, 사실 내용이 쉽진 않았다. (영어) What 8 years of side projects has taught me | Jungle Coder 8년간 사이드 프로젝트의 경험을 통해 배우게 된 내용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 있다. 그런데, 진짜 중요한 포인트는 어떤 목적이 있는..
⏰개발자들이 읽어 보면 좋을 서비스 가용성 확보에 필요한 Rate Limiting Algorithm에 대해 | Mimul Tech log 서비스 운영을 하다 보면, 이런 저런 상황이 많이 발생하면서 실제 사용자들이 제대로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럴때 속도 제한(Rate Limiting Algorithm). 음, 웹 서비스라고 가정하면, 요청 제한 알고리즘이라고 이해 하면 좋겠다. 요청 대비 처리량을 어떻게 잘 제한을 하면서 서비스 할 지에 대한 고민의 해답이라고 생각 한다. 이런 제한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서비스가 커지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 그렇지 않으면, 장애 요소가 될 수 있다. 기술 부채도 자산인 이유 기술 부채가 정말 나쁜 것인가?에 대해 "그렇..
코드의 변질 - 레거시 코드는 왜 늘 개떡같을까? 글의 마지막이 인상적인 문구가 있는데, 정말 많은 공감을 한다. 레거시 코드는 왜 항상 변경이 어려울까?라는 고민을 해 보았다면, 많은 공감을 받을 수 있는 글이다. 개발자가 안된다고 했을때의 진짜 이유 - dobiho on HCI 이 분이 생각하신 개발자가 "안 된다"라고 말하는 이유 3가지에 대해 정리 해 주셨는데, 내가 생각 하는 부분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할 줄 모른다"의 경우는 사실, 대부분 그냥 말 하는 경우가 없다. 할 수는 있지만, 어떤 부작용이 생김에 대해 말하는 개발자가 많다. 그러나, 대개 기획 쪽에서 다른 곳은 이렇게 하는데, 왜 여기는 안되나요? 라고 묻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 이런 상황에 있어서는 예의의 문제이다. 내가 할 ..
개발자에게 좋은 내용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 2020년 02주(2020.01.05 - 2020.01.11) Node.js에서의 메모리 누수 추적 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 Java에서 메모리 누수의 일반적인 원인과 감지 하는 글이 가장 나에게는 도움이 되었다. [B급 프로그래머] 1월 3주 소식(빅데이터/인공지능, 읽을거리 부문) 이 글을 읽고 나니, 신문 구독률이 최저가 되는 시대가 되었구나라는 새삼스런 깨달음과 함께 구글 크롬에서는 User-agent, 제 3자 쿠키 지원 중단을 발표 했던 글들을 포함한 유용한 글 묶음. nginx no live upstream 에러 이해하기 정말 간과하기 쉬운 부분 일 수 있지만, 잘못하면 엄청난 장애를 유발 시키기도 하는 에러이다. max_fails, fail..
위클리뉴스 한달 정도 쉬었습니다. :) 다시 시작 해볼게요. 그 동안의 좋았던 글들 위주로 과거 먼쓸리 뉴스로 이번주는 대신 합니다.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당신의 커리어가 서쪽으로 간다면 (1) 당신의 커리어가 서쪽으로 간다면 (2) 당신의 커리어가 서쪽으로 간다면 (3) 평범한 개발자 그 이상이 되기 위한 야생 학습 비결 | Popit 더 나음으로 가는 방법을 무엇일까? 궁금 하다면 읽어 보면 좋을 그런 글이다. 대학생이 신입 개발자로 공개 구직한 후기 이렇게 공개 구직을 통해 자신을 선보이는 방법도 좋은 것 같다. 나때는 생각지도 못한 방법이었는데, 내가 찾아 가는 것도 좋지만, 나는 이런 개발자인데, 어때요? 라고 제안을 하는 느낌이다. 기술 뉴스 #137 : 19-11-01 :: Outsider..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2019년 중간 점검 item4님의 중간 점검인데, 보통은 에세이 느낌으로 쓰거나 하는데, 이 분은 각 항목에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점수를 부여하며, 점검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내가 Toss를 탈퇴한 이유 - tebica story Toss 앱을 삭제하고, 탈퇴하는 이유에 대해 정리한 부분인데, 결국 어떤 서비스는 목적에 맞게 쓰는 것이 제일 좋은 생각이 든다. 그 목적이 사라지면, 사실 의미가 없다. [B급 프로그래머] 10월 1주 소식(개발/관리도구, 고성능 서버/데이터베이스 부문) B급 프로그래머님의 10월 1주 소식인데, 닉네임만 B급이고, 소식도 항상 A급이었는데....이제는 가끔 직접 쓰시는 글들이 건빵의 별사탕처럼 기다려진다. 내게 실용적이었던 프로그래밍 공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