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OS 10

alfred workflow 오류 - python 못찾을 때

언제부터인가, alfred workflow가 동작을 안하는 걸 보니 python2 환경이라 그렇고, monterey 업데이트 좀 하다보니 아예 맥 기본 path에 python3만 존재하면서 오류가 발생 했다. https://www.alfredapp.com/help/kb/python-2-monterey/ 위 페이지를 참고해보면, 된다. export PATH="/opt/homebrew/bin:/usr/local/bin:${PATH}" eval "$(brew shellenv)" brew install pyenv pyenv install 2.7.18 ln -s "${HOME}/.pyenv/versions/2.7.18/bin/python2.7" "${HOMEBREW\_PREFIX}/bin/python" 위의 방식..

MacOS 2022.03.21

M1 MacOS에서 intelliJ JDK 경로 추가

기존에는 homebrew로 설치를 해도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 하위 경로로 설치가 되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M1 맥북에어를 셋팅 하면서 보니까 경로가 달라졌다. brew install java11 이제는 보니까 아래의 경로에 설치가 된다. ╭─  / ···························································· 22:48:06 ─╮ ╰─❯ which java ─╯ /opt/homebrew/opt/openjdk@11/bin/java JDK를 추가하려고 하면, 계속 예전 자바 가상 머신 디렉토리를 가리키고 있다. /opt 경로가 디렉토리에서 안보인다. (아마 finder 설정을 바꾸면 되지 않을까 생각) 허허, 이를 어쩌..

MacOS 2022.01.02

MacOS 셋팅

Macos 셋팅 Update: 2022-01-14 M1 맥북 에어를 구매하면서, 다시 새로 셋팅을 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 주로 기본 설정은 subicura님의 macos 셋팅을 이용 한다. homebrew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ref. https://brew.sh/index_ko iTerm2 brew install iterm2 brew install wget theme는 subicura님이 쓰시는 Snazzy를 사용한다.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sindresorhus/iterm2-snazzy/main/Snaz..

MacOS 2021.12.28

@블로그 | @MacOS 한영키 적용하기

한/영키를 원래는 그냥 space + command키를 사용했었는데, vim에서 사용하기가 정말 귀찮다. 그리고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많아서 외부 툴을 이용해 키 바인딩을 바꾸기로 했다. 제일 유명한 것은 karabiner라는 툴이고, 해당 툴은 무료로 사용가능하다. 설치 한 뒤, 내가 어떤 디바이스에서 해당 키를 적용할지를 고를 수 있다. 해당 Target Device를 선택하여, Realforce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디바이스에 키바인딩을 적용해준다. 그리고 보통 한영키로 하고 싶은 키를 F18로 많이 변경한다. (쓸일이 없는 키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한 뒤에 해당 시스템 > 키보드 > 입력 소스 설정에서 F18을 설정하면, 내가 원하는 대로 한영 전환을 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이렇..

MacOS 2018.11.11

dyld: Library not loaded 오류로 vim 안될 경우

dyld: Library not loaded오류로 neovim 안될 경우❯ vi dyld: Library not loaded: /usr/local/opt/unibilium/lib/libunibilium.0.dylib Referenced from: /usr/local/bin/nvim Reason: image not found [1] 31712 abort nvim갑자기 os update 한 뒤로 이런 상태가 되는데, 답을 모르겠더라...그래서 해본 방법은 mvim을 써보는 건데, macvim은 또 정상적으로 잘 된다. 그게 문제라고 해야 하는건가...어쨌든 아무리 찾아도 이렇다할 방법은 없었다. ruby를 다시 링크 한다거나 해도.... ❯ brew upgrade neovim Error: neovim HEA..

MacOS 2018.02.20

fzf를 그냥 저냥 써보자

fzf 사용기터미널을 좋아하는 저는 터미널이 있는 환경을 좋아합니다. (좋아만 할뿐, 잘 못쓰는 경량-유저..) 리눅스 환경도 사실, 거금을 들여 저의 전재산인 맥북을 사기 이전에는 우분투를 썼습니다. 그 당시에는 terminator라는 terminal을 즐겨 썼습니다. 이제는 iterm2를 즐겨쓰는데요. fzf라는 녀석을 알게 되어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fzf를 설치하는 방법은 github에 잘 나와있지만, 소개합니다. 설치vim의 god로 유명하신분이 Go lang이라는 언어로 포팅한 프로젝트입니다. 상당히 빠른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Go의 고루틴 능력때문일까요?..?!!fzf github repohomebrew or linuxbrewbrew install fzf ​ # To install us..

MacOS 2017.12.10

vimdiff 사용 해보자

Vimdiffvi를 쓰다보니 파일을 비교해야 할 일이 생기기 마련인데, vimdiff로 두 파일의 비교를 할 수 있다. Vimdiff 사용법$ vimdiff file1 file2 단축키Ctrl + w + w or Ctrl + w + 방향키 : 분할 된 화면 이동Ctrl + w = : 분할된 창 크기가 동일하도록 조정] + c : 앞쪽으로 이동하며 차이점 부분 찾기[ + c : 뒤쪽으로 이동하며 차이점 부분 찾기d + p : 커서가 있는 쪽의 내용을 반대쪽에 복사한다.d + o : 커서가 없는 쪽의 내용을 커서 있는 쪽에 복사한다.z + o : 숨긴 부분 열기z + c : 차이점 없는 부분 열기:diffupdate : 차이점 비교 update시 실행

MacOS 2017.11.25

Tmux에 대해 알아보자.

tmux 사용 정리맥에서 일단 설치를 해야 합니다. homebrew가 설치 되어 있으리라 생각하며, homebrew 설치를 건너 띄겠습니다. homebrew install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tmux install$ brew install tmux 위 처럼 입력하면 알아서 샥샥 설치가 됩니다. tmux conf .. Aka. tmux이쁘게 쓰기..?😁구글 검색하면, 상위에 랭크된 깃허브 레포지토리를 가봅시다. tmux-themepack.tmuxmaglevtmux-colors-solarizedtmux-onedark-themetmux-powerlinetm..

MacOS 2017.11.13 (5)

Mac OS에서 Tomcat 느리게 실행 될 경우

Tomcat 느리게 실행 될 경우이상하게 톰캣이 느리게 실행 되는 순간이 오게 됩니다. 맥에서 특히 발생하는 경우인데,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주면 된다고 하네요. hostname을 얻어오는데, 설정이 안되어 있으면, 해당 hostname을 가져오는데 걸리는 timeout까지 시간을 기다리기 때문이라고 본 것 같습니다. sudo scutil --set HostName seungdols-macbook

MacOS 2017.11.10

Mac OS에서 Window 원격 하는 방법

MacOS에서 Windows OS원격하는 방법요즘은 맥북을 손에 넣어 요즘 줄기차게 쓰고 있습니다. 다만, 잔고는 바닥…(몇 개월째니 이게… 😭)그런데, 쓰다보니 윈도우에 원격접속을 할 일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회사 컴퓨터라던가…집돌이's 컴퓨터라던가')참고, 같은 네트워크 상이어야 가능합니다. 만약, 다른 네트워크 상황이라면, TeamViewer를 쓰시면 됩니다.맥에서 맥으로 원격접속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원을 하지만, 맥에서 윈도우로 접근을 하려면, 특정 설치가 필요로 합니다. 위에 보이시는 그림처럼 MicroSoft Remote Desktop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 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윈도우도 요즘 변화의 격변기인터라, 버전별로 포트를 명시해줘야 한다거나 window 10 home editio..

MacOS 2017.08.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