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78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이 책은 요즘 나오는 스프링 책과는 조금 다르고, 요즘은 보통 스프링 부트에 집중하는 편인 책들이 많다. 그런데, 이 책은 스프링 부트이야기 보다 힙합으로 치면, 올드 스쿨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담고 있다. 물론, 예제와 같이 말이다. 이런 점에서 요즘 핫한 Spring WebFlux 같은 챕터가 맨 마지막 한 단원 구성만 되어 있는데, 그런 부분은 좀 아쉬운 사람들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요즘은 주로 Spring WebFlux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많이 만들고, (프로젝트 구성) 또한 XML기반에서 벗어나 자바빈 설정으로 주로 옮겨 갔고, 이마저도 올드한 방식이며, Spring Boot기반의 프로젝트들은 어노테이션 기반의 설정과 properties로 분리 해둔 설정 값으로 ..

책 리뷰 2020.05.30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78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738/clean-code-typescript 클린코드 typescript편이다. 읽어두면 도움이 된다. TS3.9에 대한 릴리즈 노트 내용 번역이다. Optional Chaining 관련 및 코딩시 가능한 실수등에 대한 부분이 개선 되었고, ECMAScript와 더 호환하려는 개선이 추가 되었다. Hexo에서 Gatsby로 블로그 마이그레이션 야크쉐이빙 후기 Gatsby로 블로그를 마이그레이션 한 경험기인데, 블로그를 이전하려는 분들이 본다면 도움이 많이 된다. Distributed Cache로 Hibernate Second Level Cache를 적용하여 성능 튜닝하기 - 이론편 Distributed Cache로 Hibernate Second Level Cache를 적용하여 ..

승돌 쓰다 2020.05.25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77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해외개발자 _ 진짜 개발자가 하는 일 1 해외에서 일 하는 개발자의 경험기인데, 결국 언어만 다르고 일 하는 방식은 같은 것 같다. 뭐... 회사마다 문화가 다른 것은 별개로 보도록 하자. GraphQL을 오해하다 graphQL을 쓰면서 겪은 경험기 글로, JS를 주로 쓰고 graphQL을 JS단에서 도입 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많이 될 수 밖에 없는 글이다. git add -patch의 e 옵션 커밋을 정말 atomic하게 쪼개어 작업을 해야 하는데, 그 부분을 git add -p 옵션을 쓰는데, 수동으로 더 쪼갤 수 있는 옵션이 있다는 것은 처음 알게 되었다. (알면서도 git add -p는 잘 안 쓰게 된다.) DDD 했더니 비대해지는 엔티티, 좋은 대책은 ? DDD와..

승돌 쓰다 2020.05.17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76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naver/fe-news Naver 개발자들이 한달 간의 주요 글들을 큐레이션 하고 있는데, 이번 달은 PR의 Best practice에 대한 글이 좋았다. 리팩터링에 대한 단상 리팩토링 2판을 읽고 느낀 리팩토링에 대한 개인의 생각인데, 정말 좋은 말이 본문에 있었는데,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리팩토링을 한다." 이 말이 리팩토링에 대한 설명으로는 끝인 것 같다. Looking Back on Four Years at The Times 타임즈 CTO로 4년간 일 했던 회고록인데, 정말 좋은 내용이 많고 되게 사람이 겸손하구나?! 싶은 느낌을 많이 받았다. **서비스는 4년여 동안 100만에서 500만의 구독자로 성장하게 되었고, 여러 시스템들의 개편과 주요 기술들 도입, 클라우드..

승돌 쓰다 2020.05.11

리팩토링 2판

일단 1판에 이은 2판은 JavaScript 예제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런데, 이게 정말 어려운 코드가 아니고, 이해 하기 좋은 코드여서 정말 따라가기 좋았다. 솔직히, 흔히 생각하는 코드에 해당하는 코드를 점진적으로 발전, 리팩터링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았고, 테스트 코드까지 딱 첨부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근데 테스트 코드 정도는 스스로 짜 넣어도 괜찮을만한 수준이기에 나쁘지 않았다. 그리고, 마틴 파울러가 흔히 쓰는 result의 변수 네이밍도 사실 말들이 많긴 했는데, 여전히 사용하는 것 또한 나에겐 좋은 장점이었다. 어떤 사람의 철학이 계속 고집 된다는 점은 결국 그 방식이 시간이 지나더라도 스스로 나쁘진 않더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라는 믿음이 있다. 애초에 나 스스로 시간이 ..

책 리뷰 2020.04.30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75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신규입사자가 바로보는 마켓컬리 마켓컬리의 신규 개발자가 본 마켓컬리의 문화를 체험하고 쓴 후기이다. 선한 영향력이란게 이런 문화를 두고 하는 말 같다. 나도 이제 감정적인 부분은 내려두고, 하루에 하나씩 복리 구조의 팀을 만들어가는데 일조 해야겠다. ziishaned/learn-regex 정규식 잘 모르던 분들이 참고 하기 좋은 정규식 배우기 페이지입니다. xguru/awesome-awesome-awesome Awesome list를 모아둔 Awesome Meta list 저장소이다. Greg Hausheer 비개발자가 개발자를 인터뷰 하는 방법에 관한 글이다. PostgreSQL is the worlds' best database PostgreSQL이 좋은 이유에 대해서..

승돌 쓰다 2020.04.26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74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Remote work: A series of best practices for a remote workplace 깃허브 블로그에 소개 된 원격 근무에 관한 글인데, 원격 근무에 대해 겪는 상황에 대해 가장 좋은 예를 소개 한다. (시리즈) 44BITS 뉴스레터 2020년 14-15주 44bits 뉴스 레터이고, 도커 관련 글, 스탠다드아웃 관련 링크가 잘 정리 되어 있다. 개발자와 명상 나도 요즘 명상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좋은 글을 만났다. 명상을 시도 하시고, 꾸준히 하시는 분이셨다. 나는 집중력이 정말 낮은 수준이다. 주의력 결핍에 가깝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이를 고치고 조금 예민한 성격을 둔하게 만들기 위해 명상을 해야겠다. 결심 했다. 좋은 ..

승돌 쓰다 2020.04.19

JSP속에서, handlebars 삽질.

JSP 상에서 handlebars를 사용할 때, Controller에서 ModelAttribute 넘겨줄 시에, 데이터로 사용 할 값은 그냥 오브젝트 넘겨줄 경우, 오브젝트 형태로 넘어가기 때문에, handlebars에서 데이터로 사용하기 어렵다. [Category(id="asdfasdf", name="asdfasdf"), Category(id="asdfadf", name="asdfadf)]위와 같이 오브젝트 타입까지 넘겨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JSON.parse를 통해 배열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JSON string형태로 controller에서 넘겨주면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modelMap.addAttribute("Categories", JsonUtils.write(categories))..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73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번역) 세상은 왜 CSS개발자를 필요로 하는가? CSS 개발자가 필요한 이유, 솔직히 내가 항상 생각하는 유능한 마크업 개발자가 절실하게 필요한 이유가 이 이유이다. 물론, 프론트 개발자가 다 해도 되는 분야이기도 하지만, 나는 전문적인 마크업 개발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그래야 프론트 개발자가 더 집중도 있게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 한다. 물론, 이 글에 반대 하는 이들도 있으리라 생각 한다. 쿠폰 재고의 설계 및 개발 쿠폰 재고에 대한 설계와 개발을 스펙과 전체적인 디자인에 대해 잘 소개 하고 있으며, 특정한 문제와 어느 정도의 논이슈 처리등에 대한 근거와 감안 할 수 있는 이유, Redis를 사용한 명확한 이유를 잘 제시하고 있어서 정독 하면 좋겠다. git 교육..

승돌 쓰다 2020.04.12

Apache Httpd 하나로 tomcat, node 운용하기?

자, 여기서 질문 들어 갑니다. apache httpd + tomcat instance + node server 서버 한대에 아파치 웹서버, 톰캣 인스턴스 그리고 노드 서버 까지 운용할 수 있을까? 답은 가능하다. LoadModule proxy_http_module modules/mod_proxy_http.so LoadModule proxy_scgi_module modules/mod_proxy_scgi.so LoadModule proxy_ajp_module modules/mod_proxy_ajp.so LoadModule proxy_balancer_module modules/mod_proxy_balancer.so위의 모듈을 이용해, tomcat 서비스, node 서비스를 둘 다 동시에 서비스 할 수도 있고..

승돌 쓰다 2020.04.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