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78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6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확장하기 쉬운 코드가 아니라 삭제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만든 사람이지만, 신박한 견해라고 생각했는데, 돌이켜보니 좋은 이야기였다. 소모된 코드가 바로 유지보수를 줄이는 작업이라는 관점 또한 신기했다. 그리고, 많이 작성하지 말고, 코드를 먼저 흔히 사용되는 코드라면 복사 붙여넣기 해보자는 것도 좀 재밌는 관점이었다. [번역]개발자로 압박을 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제일 중요한 점은 내가 모든 것을 다 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올바른 학습 목표를 가지고, 계획하고 그것을 잘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우리는 알지만, 때때로 잘 실천하기가 어렵다. 역시 꾸준함이 생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수학인듯 과학아닌..

승돌 쓰다 2019.03.27

[후기] Write the Docs (블로깅과 테크니컬 라이팅)

layout: post title: "[후기] 블로깅과 테크니컬 라이팅 세미나" description: "[후기] 블로깅과 테크니컬 라이팅 세미나" date: "2019-03-23 16:23" tags: [programming, weekly-news] comments: true 글 쓰는 개발자 모임(변성윤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6개월 간의 의도적인 글쓰기 모임 강제로 진행 현재는 1기를 지나 2기 진행 2주마다 글을 하나씩 쓰도록 가이드 함. 글 쓰는 것도 피드백을 통해 보완점을 찾게 한다. 다만,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는데에는 시간이 좀 걸리고, 서로의 친분이 좀 필요로 하다.모임을 하다보니 여러 관심사가 맞는 사람들끼리 오프라인 모임을 진행하게 됨.기술 블로그 생존 전략: 구글 시대의 글쓰기(김대..

승돌 쓰다 2019.03.23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5

layout: post title: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5" description: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5" date: "2019-03-18 00:56" tags: [programming, weekly-news] comments: true JavaWhat Is an IoC Container in Spring? [Video] - DZone JavaFunctional Programming Is Just a Safety Restriction on Object Orientation - DZone JavaQuickstart: How to Use Redis on Java - DZone JavaJava 10 Immutable/Unmodifiable Stream API Collectors - DZon..

승돌 쓰다 2019.03.18

JRebel 대체제인 DCEVM을 적용해보자.

layout: post title: "DCEVM(Dynamic Code Evolution VM)을 적용해보자" description: "DCEVM(Dynamic Code Evolution VM)을 적용해보자" date: "2019-03-13 18:16" tags: [java,hot swap, programming] comments: true DCEVM을 설치 해서 조금 더 빠르게 수정된 부분을 반영하여 Tomcat이 해당 수정 코드를 빠르게 반영 하고자 설치하려고 한다. 원래는 JRebel이라는 유료 툴을 이용하면, 빠르게 Hot Swap하여 수정 된 코드를 반영할 수 있다. 그러나 연간 $550정도로 구독 모델이 굉장히 비싸서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대체제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 바로 DCEVM이다. 아래와..

@독서 | @함께 자라기, 애자일로 가는 길

#함께 자라기, 애자일로 가는길 #내가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좀 더 나은 개발자가 되는 것 그리고 그 것을 팀원들과 공유 하기 위한 방법론에 관한 책. 저자 : 김창준 출판사 : 인사이트 나의 생각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깊고 넓은 견해에 대해 정말 많이 놀라웠다. 심리학부터 마케팅, 개발등 모든 분야별로 지식의 깊이가 남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좋은 말들이 워낙 많았기에 사실 이 책은 1년 마다 한 번씩 다시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책을 다 읽기 전에 나와 같이 일하는 파트 분들에게 선물로 나누어 주었다. 정말 많은 공감을 했고, 남는 것이 많은 책이라 선물을 하고 싶었다. 특히나 시니어 개발자분들에게 선물로 주고 싶었다. 그런 말이 나오는데, 비전문가일수록 자신이 최초..

책 리뷰 2019.03.08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4

layout: post title: "Weekly News #34" description: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4" date: "2019-03-05 20:30" tags: [weekly-news, programming] comments: true JAVA LINE의 OpenJDK 적용기: 호환성 확인부터 주의 사항까지 - LINE ENGINEERING: Oracle JDK사용에 제약이 생기면서 앞으로 수 많은 Java기반 프로젝트에서 벌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근데 그렇다고 안바꿀 수도 없고, 적절한 시점에 안바꾼다는건 좀 기술 부채가 정말 빠르게 쌓이는 것이라 생각한다. Java NIO Direct Buffer를 이용해서 대용량 파일 행 기준으로 쪼개기: 실제로 일을 하다보면, 만나는 상황인데,..

승돌 쓰다 2019.03.05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3

layout: post title: "Weekly News #33" description: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3" date: "2019-02-24 20:30" tags: [weekly-news, programming] comments: true 개발자가 읽어야 할'HTTP/3 explained' 한국어 번역 :: Outsider's Dev Story: outsider님이 번역해주셨고, 지금은 마스터 브랜치에 머지가 된 상태로, 다양한 확장자의 버전으로 HTTP/3예 대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 개발자라면 네트워크도 빼놓을 수 없고, 더군다나 HTTP/3라면 무조건 봐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번에 HTTP 스터디를 하는 시간에 위의 내용도 공유하고, 스터디원들이랑 확인 해야봐야겠..

승돌 쓰다 2019.02.25

find missing argument to -exec 이슈

layout: post title: "Solve find missing argument to -exec" description: "find missing argument to -exec" date: "2019-02-16 18:36" tags: [linux, shell, programming] comments: true Solve find missing argument to -exec어느날, 서버 작업을 하던 중에 쉘 스크립트를 하나 만들어야 했다. log rotate를 해야하는 상황이었다.그래서 스크립트를 작성하는데, 계속 위와 같은 find missing argument to -exec오류가 발생했다. 내가 작성한스크립트의 일부가 아래와 같다. /usr/bin/find $NGINX_LOG_ARCHIVE..

리눅스/CentOS 2019.02.16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2

layout: post title: "Weekly News #32" description: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2" date: "2019-02-16 17:34" tags: [weekly-news, programming] comments: true [번역] UnitTest: Martin Fowler - 이상한모임: Unit의 단위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참 아무리 생각해도 어렵다. 쉽지 않은 주제이고, 테스트를 어떻게 잘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부분도 항상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라, 테스트를 작성하면서, 팀원들과 어떻게 테스트를 할지에 대한 토론을 하면서도 이야기 나누면 좋을 주제다. Thinking in React(리엑트스럽게 생각하기): ReactJS를 접하면서 느낀 건데, 참 그 ..

승돌 쓰다 2019.02.16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1

2019-02-10 weekly news 31th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 강대명님이 대규모 웹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아키텍쳐에 대한 설계에 관해서 자료를 만들어주셨는데, 이러한 자료는 사실 어떤 책을 읽어도 얻기 힘든 정보들이 많다. SPOF라던가? 무중단 배포와 같은 정보는 필수적인 요소인데, 이에 대한 내용들을 잘 녹여주셨다.SoundCloud 아키텍처의 진화 | Looah: soundcloud 서비스를 나는 그렇게 많이 사용하진 않지만, 사용자가 급격하게 많아진 서비스 중 하나라고는 들었는데, 이에 대한 해당 서비스의 아키텍쳐 변화에 대한 번역글인데, 굉장히 좋은 정보가 많고, 캐싱 전략이라던가? 어떤 플랫폼을 사용했는지? 왜 사용했는지를 알아보면..

승돌 쓰다 2019.02.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