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78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0

layout: post title: "Weekly News #30" description: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0" date: "2019-02-04 00:18" tags: [weekly-news, programming] comments: true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30JavaScript 코드 리뷰 - 코드 리뷰 문화: 코드 리뷰에 대한 글인데, 코드 리뷰에 대한 모든 면을 적어주었다. 그래서 읽어보면 좋겠고, 코드 리뷰를 하지 않는 팀, 회사라면, 다 같이 공유해서 읽어 보는 것도 좋겠다. 결국은 코드 리뷰는 비용이 들지만, 다시 되돌아 오는 복리라고 생각하면 좋다. 작게 자주 올리는 것이 좋다는 말에 격하게 동의한다.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 과정과 RxJS Scheduler: 오래전의 ..

승돌 쓰다 2019.02.04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9

개발Tiny Tip Calculator 개발기: 번역을 정말 자주 해주시는데, 또 토이 프로젝트로 팁 계산을 해주는 ios앱을 만들어주셨다. 깔끔하고, 여행을 갔을 때, 써야겠다.한 달 짜리 개인 프로젝트 (5) — 당신의 타자 실력을 알려주는 웹 앱: 프로그래머를 위한 타자 연습페이지를 모방하여, 한글 연습을 할 수 있는 웹 앱인데, 심심하거나 타자 연습을 진짜로 할 때, 좋다는 생각과 함께 항상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하시는 모습이 참 존경스럽고, 만들어주신 스타웍스 또한 잘 쓰고 있는데, 해당 앱도 정말 자주 쓰게 될 것 같다.[B급 프로그래머] Devops를 위한 인터뷰 문제: 실제로 devops라는 건 정말 어렵다. 추상적인 영역이고, 사이트 신뢰성을 얻기란 어려운 문제고 항상 모든 문제..

승돌 쓰다 2019.01.27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8

한 달 짜리 개인 프로젝트 이야기 (3) - Dvorak과 이별하다 - HappyProgrammer - Medium: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의 편리함과 공용성에 대해 생각 해볼 수 있는 글이다.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나의 공부 방법: 정말 대단하신 분이라고 생각하는 개발자 중의 한 분이신 이종립님의 이야기인데, 공감이 참 많이 간다. 나도 중학교시절부터 책을 좋아 했는데, 그 이후 뭐랄까 좋지 않은 습관이 머리말부터 인쇄 판쇄까지를 읽어야 하는 습관이었다. 책은 목차가 있는 이유가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유가 생기고, 끝까지 읽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읽는 성숙함이 자연스레 생기게 되었고, 그 맛이 있다. 다른 이들도 책으로 공부하는 맛을 느꼈으면 좋겠다.[B급 프로그래머]..

승돌 쓰다 2019.01.21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7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7Intellij Spring DevENV with Docker: IntelliJ에서 Docker를 활용해 Tomcat 이미지를 이용해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기본적으로 IntelliJ가 어떻게 톰캣을 실행시키는 점을 찾아볼 생각을 못했는데, 상세하게 잘 정리 해주셨다.프론트엔드 기술 조감도 : Babel: 안희종님의 Babel에 대한 글을 써주셨다. 사실 Babel이 워낙 방대해지고, 학습하기가 정말 쉽지 않다. (Document만으로는 절대 무리다.) 특히 발전하면서 히스토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는데,Babel을 학습하기에 좋은 글을 남겨주셨다.자바스크립트 엔진의 최적화 기법 (2) - Hidden class, Inline Caching: 자바스크립트를 ..

승돌 쓰다 2019.01.13

[리뷰]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인공지능 첫걸음

[리뷰]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하는 인공지능 첫걸음​이 책은 정말 특이하게 지능이란 무엇일까? 라는 Chapter로 시작하는데, 인공지능의 기초를 배울 수 있다. 지능과 뇌의 구조를 통해서 어떻게 컴퓨터 세계에서는 그런 것들을 표현했는지를 알려면 기초를 잘 배워야 하는데, 인공 지능 수업을 들었던 나에게는 쉽게 유추가 가능하고, 어떤 용어가 잘 매핑이 가능하지만, 모른다면 정말 모를 수 있는 용어들이 많다. 그런 용어부터, 유래?라고 해야할지 모르지만, 기원을 잘 알아가는 것은 어려운 머신 러닝의 세계로 입문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기계학습에 대하여 알아보자고 생각하자. 나는 전혀 지식이 없는데, 기계 학습이라는 것을 공부하려고 하면 어떤것부터 공부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는다. 종류는 무엇이 있으며..

책 리뷰 2019.01.10

@블로그 | @MacOS 한영키 적용하기

한/영키를 원래는 그냥 space + command키를 사용했었는데, vim에서 사용하기가 정말 귀찮다. 그리고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많아서 외부 툴을 이용해 키 바인딩을 바꾸기로 했다. 제일 유명한 것은 karabiner라는 툴이고, 해당 툴은 무료로 사용가능하다. 설치 한 뒤, 내가 어떤 디바이스에서 해당 키를 적용할지를 고를 수 있다. 해당 Target Device를 선택하여, Realforce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디바이스에 키바인딩을 적용해준다. 그리고 보통 한영키로 하고 싶은 키를 F18로 많이 변경한다. (쓸일이 없는 키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한 뒤에 해당 시스템 > 키보드 > 입력 소스 설정에서 F18을 설정하면, 내가 원하는 대로 한영 전환을 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이렇..

MacOS 2018.11.11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 뉴스 #26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6JavaScript명령형 자바스크립트 클래스를 함수형 선언적 코드로 바꾸는 8단계: 원문도 출처로 명시되어 있고, 번역글이긴 한데, 번역이 정말 잘 되어 있다고 생각 했다. 그리고 코드로 표현되어 있고, 함수형 패러다임에서 주요한 합성함수, 순수함수, 커링등 개념들이 많이 나와 있어서 학습하기 좋다.[NodeJS] nodejs는 single-thread가 아니다: 나도 그렇게 알고 있던 사실이었는데, CPU 관련 부하가 큰 경우는 다른 Thread에서 작업한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정말 몰랐던 내용을 쉽게 설명 해 준글.TypeScript Generic: TypeScript의 Generic의 번연본인데, 사실, TypeScript가 interface, class를 만지다 보면, ..

승돌 쓰다 2018.10.31

스프링 5 레시피

스프링 5 레시피 리뷰 드디어 스프링 5의 책이 나왔다. 얼마나 많이 기다려온 책인가!!!?책이 나오기 전에 스프링 5에 대한 내용을 들을 수 있던 것은 Toby TV시즌 2 유투브를 통해서였다. 물론, 다 보진 못했다. 😨여전히 스프링 5에 대한 물음표는 있다. 비동기 논블럭킹으로 변화 하는 것은 옳은지? 레거시 시스템에서 어떻게 자연스레 Java Stack에 변화를 줄 수 있을까? 더군다나, RDBMS에 맞춰진 데이터, 데이터를 처리 하기 위한 플로우 자체가 변경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WebFlux 또한 JPA, JDBC에 대한 구현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수많은 물음들이 존재하긴 하지만, 내가 쓸줄도 모르고, 왜 쓰는지도 모른다면, 그 시기에 해당 기술을 제일 멀리 해야한..

책 리뷰 2018.10.21

[정리] MongoDB - Data Modeling

Data Modeling네임 스페이스MongoDB에서는 데이터 베이스의 이름과 컬렉션의 이름 조합을 네임스페이스라고 한다. 네임 스페이스와 컬렉션의 이름 사이에는 .으로 구분해야 한다. 컬렉션 뿐만 아니라 인덱스도 자신만의 네임스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인덱스의 네임 스페이스는 컬렉션의 네임스페이스에 추가로 인덱스 이름을 붙인 형태이다. 예시) shop.user.$ix_catalog_nvMidMMAPv1 스토리지 엔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별로 네임스페이스의 목록을 저장하는 네임 스페이스 파일이 생성 되는데, 이 파일의 최대 크기는 2GB이다. 각 네임 스페이스는 120바이트를 넘어 설 수 없으며, 데이터 베이스 이름과 컬렉션 이름의 합이 120바이트 이상의 문자열로 생성 될 수 없다. 기본으로 생성 되는..

DB/MongoDB 2018.10.20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5

그냥 저냥 위클리 뉴스 #25읽어보면 좋을 글 돈이 되지 않는 일을 할 권리 : 돈이 되지 않은 일이라는 것은 무엇을까라는 고민을 해본 적이 있었을까? 내가 하는 것은 회사에 가서 업무를 해내고, 그러한 활동만 노동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 글에서 그 생각을 여지없이 부숴버리는 문장이 있다. "우리는 일 하지 않으면, 논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우리에게 활동에 관련된 언어가 일과 놀이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글을 읽으면서 무언가 쿵 하고 머리를 맞은 것 같았다. 적극적 소득 vs 소극적 소득 : 적극적 소득과 소극적 소득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아티클이다. 사실, 매일 매일 좋은 글이 발행되는데, 내가 잘 찾아서 못봐서 그렇지 여기는 항상 좋은 글이 많은것 같다. Java Java ..

승돌 쓰다 2018.10.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