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78

[정리] 러닝 리액트 3장 함수형 프로그래밍

러닝 리액트3장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한 함수형 프로그래밍함수형 프로그래밍 개념이 시작 된 것은 1930년대이다. 그 당시 발견한 람다 계산법이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함수를 함수로 넘기거나 함수가 함수를 결과로 내놓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함수를 조작하고,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복잡한 함수를 고차함수 (high-order function)으로 부른다.함수가 1급시민(First class citizen)이 되려면 변수에 함수를 대입할 수 있어야 하고, 함수를 다른 함수에 인자로 넘길 수 있으며, 함수에서 함수를 만들어서 반환할 수 있어야 한다.3.1 함수형이란?자바스크립트는 함수가 1급시민에 해당되기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var log = fu..

rabbitmq 서버 터트리고 살리기 (akka. file discriptor가 문제다.)

파일 디스크립터 갯수 올리려다가 rabbitmq 터진 사건 파일 디스크립터 갯수가 1024개로 되어 있으나, OS의 파일 디스크립터 갯수는 81920개까지 사용 가능하다. $ ulimit -n #명령어로 갯수 확인이 가능하다.rabbitmq를 처음 셋팅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file discriptor 갯수가 1024개로 셋팅이 되는 것 같다. 그런데, rabbitmq-server를 재시작하면, OS 커널에 대한 옵션을 자동으로 가져오는 것 같다. (혹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노드 1번을 냅두고, 노드 2번부터 stop_app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중지시키고, rabbitmq-server를 중지시켰다가 다시 시작 시켰다. 바로 file discriptor 갯수가 증가했다. 그 후 노드 1번을 증가시..

인프라 2018.04.23

[정리] 러닝 리액트 - 2장 최신 자바스크립트

러닝 리액트2장 최신 자바스크립트ES5의 내용은 아래 두 곳의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ECMAscript 5의 feature : http://speakingjs.com/es5/ch25.htmlhttp://www.bsidesoft.com/?p=1861ES5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3.0에 비해 5.0에서 실질적으로 추가된 문법은 strict mode와 Object리터럴 get-set추가, 문자열의 인덱스 인식등에 대한 부분이 변화 했습니다.가장 중요한 특징은 객체에 대한 통제와 클래스를 생성하는 방법이 변화했다는 것입니다.문법적으로도 사용자 Object에 대해 getter, setter 지정이 가능해지므로 더 이상 평범한 값의 할당으로 작동하지 않고 내부에는 많은 제어문을 내포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 기존의..

@독서메모 | @영어 이제는 잘 할 때도 됐다. / @오성호

#영어 이제는 잘 할 때도 됐다. #영어 공부를 하는 방법의 잘못됨을 고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 오성호 출판사 : 넥서스 나의 생각 이 책을 제목을 보고 결정했었는데, 생각보다 책의 내용이 그렇게 나쁘진 않다. 왜 우리가 영어를 잘 못할 수 밖에 없는지. 교욱제도의 문제점, 수능 영어의 폐해를 설명해준다. 그리고 이 책에서 강조하는 영어 공부법은 단순히 문법 공부를 한다거나 영어단어를 공부하는 방식을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지식 영어와 언어 영어의 구분과 그 차이를 설명하는데 이 책의 전부를 할애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책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은 책을 읽어라. 이게 가장 큰 핵심 방법이다. 단, 자신이 문장을 읽었을 때, 페이지가 술술 넘길 수 있을 만큼의 수준의 책을 골라야 한다는 것이다. ..

책 리뷰 2018.03.21

@독서메모 | @언어공부 / @롬브 커토

#언어공부 #다중언어를 구사했던 사람의 공부법을 알 수 있다. 저자 : 롬브 커토 출판사 : 바다 나의 생각 언어 공부라는 책의 후기는 생각보다 잘 쓰여진 책이라는 느낌은 아니다. 저자가 이 책을 쓴게 상당히 오래전이고, 책의 구성이 약간 구설로 강의하는 듯한 느낌이 많다. 내가 어떻게 공부했냐면~ 아 그런데말이지~~ 이런 이런 일들이 있었지~하는 듯한 느낌이랄까? 그래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빠르게 읽고 필요한 부분은 하이라이트 치면서 읽게 되었다. 사실, 언어 공부에 대한 방법을 요즘은 많이 찾아서 공부하는데, 생각보다 많은 책들이 하나의 방법을 말하고 있는데, 그것은 문법에 너무 취중하지 말라는 말과 단어에만 집중하지 말라는 것이다. 언어학이 아닌 언어를 배우는건 문장과 문맥에 그 뜻이 있다..

책 리뷰 2018.03.21

독서메모 | #픽스유 / #정현주,정대현

#픽스유 #가끔 지치고 외로운 나날들이 계속 될 때, 읽으면 좋을법하다. 저자 : 정현주, 정대현 출판사 : 오픈하우스 나의 생각 정현주 작가를 알게 된 뒤로, 책을 내실때마다 항상 읽고 있다. 오히려 여자분들이 더 좋아하는 정현주 작가이자, 서점 주인이시지만. 나는 생각보다 감수성이 풍부한 편인 것 같다. 사실 하는 일은 이성적인 업무를 하지만, 감성적인 이러한 느낌의 책들이 너무나 좋다. 특히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것이 사람과의 관계 그리고 사랑, 이별이야기들 아닐까? 사람을 공부하는 것이 중요한 나이가 되어버린 것 같다. 그렇기에 이 책을 사게 되었고, 천천히 아주 오랜시간 공을 들여 읽었다. 앞부분은 기억이 나지 않을 만큼 천천히 읽었고, 지치고 힘들 때에 읽다 보니 읽는데 오래 걸렸다. 그럼..

책 리뷰 2018.03.21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2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2How to choose the right NoSQL database : NoSQL database를 선택하는데에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지에 대한 글인데, 읽어두면 좋을 것 같다. (시간이 남거나 영어를 잘 했다면, 번역을 했을 수 있지만..) 실력 부족으로 번역을 하진 못했다. 인도의 시골 소년, 이빨 빠진 마이크로소프트라는 공룡을 부활시키다! : MS사의 새사령탑이 유례없는 엔지니어 등용도 등용이지만, 그의 혜안이 나는 MS를 여기까지 끌고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사람이라고 판단한다. 단일 플랫폼에서 크로스 플랫폼 지향으로 나아가며, 모바일 퍼스트 클라우드 퍼스트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는 점에서 그는 MS의 항해사로 옳음 결정을 했었다고 생각한다. 책을 좋아하면 심심한 사람..

승돌 쓰다 2018.03.20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1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1뒤늦은 2017년 돌아보기 : 2017년의 일들에 대한 기록들이 정말 잘 정리 되어 있고, 달별로 어떤 일이 발생했고, 기술적으로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써져있다. 내 맘대로 월간뉴스 - 2018년 02월 : 처음 도커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글,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와 콜백 함수에 대한 글, github를 이용해 댓글을 사용하고 싶을때등, 수많은 유용한 글들의 모임이 월간 단위로 정리 되어 있다. 리액트 quick start 노트 : 요즘 리액트가 프론트엔드 개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긴 하다. 그렇기때문에 리액트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긴 하다. 업무상 프론트를 담당하고있으므로...NullableJ: Handling Null in Java : 간단하게..

승돌 쓰다 2018.03.12

[정리]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0

그냥 저냥 #위클리뉴스 #20intelliJ에서 Json작업 쉽게 하기 : 언제나 좋은 양질의 글을 올려주시는 창천향로님이시다. 특히, IntelliJ 팁을 잘 알려주시는데 이는 굉장히 중요하다. 생산성을 올리는데에 개발툴이 얼마나 익숙한지에 따라 확연하게 달라진다. 기술 뉴스 #96 - outsider :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포스팅은 흥미롭다. 나는 풀스택을 하고 있으나, 둘다 못하는 잔재주를 부리고 있으므로, 내가 열심히 봐야하는 글이다. Go 언어 설치 : Go 언어는 신기한게, 잘쓰시는 분들은 엄청 좋다고 하면서, C같은 Python이다라고도 하시지만, 정작 잘쓰기까지가 어렵다고 너무 많이 들어서 무섭다.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 2018년 08주(2월 19일)..

승돌 쓰다 2018.02.26

[책] 모던 웹을 위한 Node.js 프로그래밍 8장 정리

Node.js 8장 - Expressnpm install express8.1 기본 서버var express = require('express'); ​ var app = express(); ​ app.use(function (request, response) { response.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 response.end('Hello express'); }); ​ ​ app.listen(52273, function () { console.log("Server Running at http://127.0.0.1:52273"); });http모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express모듈이 더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

반응형